안녕하세요? 오래간만에 질문해주셨네요^^



zoom climb, 우리말로 할 때 보통 줌 상승이라고 하는 것은 충분한 속도가 있을 때 속도를 고도로 바꾸기 위한 상승을 말합니다. 꼭 급상승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구요. 딱히 몇도 각도의 상승으로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속도를 효율적으로 고도로 바꾼다는 의도가 주요한 것이기 때문에, 상승 각도는 얼마든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속도가 많다면 좀더 가파른 상승도 할 수가 있을 것이고 속도 여유가 충분하지 못할 때는 상승각도를 높게 잡을 수 없겠죠. 말씀하신 것과 같이 zoom 그자체에 상승이라는 의미가 있는데...우리 말로 일반적인 상승 또는 영한 사전에 나오는 급상승과는 뉘앙스가 좀 다르구요, 음 뭐랄까 죽 뻗는 느낌이 강조되었달까요...그런 뉘앙스의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속도가 뒷받침되어야 하겠죠^^ zoom climb이라는 말은 일반명사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고, 일반적인 zoom이라는 단어가 행동 위주의 묘사인데 비해서 속도를 고도로 바꾼다는 점을 강조한 정도의 뉘앙스 이외에 별다른 정의상의 차이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best energy-rate climb speed은 zoom climb와 내용상 관계가 될텐데, 그점에 대해서는 저도 갖고 있는 사전 지식이 따로 없어서 FC를 보니 에너지의 총합이 최대가 되는 상승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그러니까 속도를 어느정도 유지한 상태에서의 상승이 되겠네요. 너무 가파른 상승은 속도 감소가 너무 크고 너무 낮은 상승은 고도 확보량이 너무 작겠죠. 최대 상승율과 명백히 다른 점으로는, 최대 지속 상승율을 얻으기위한 속도는 그렇게 높지 않기 때문에 그 상태는 에너지의 총합이 최대가 된다고 하기는 조금 힘들다는 점을 연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FC의 해당 부분에서 개념을 그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어서, 그부분을 자세하게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