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공대지임무의 dive bomb를 위해 box pattern을 열심이 공부중입니다. (__)
특정, 제원에 의한 개념적인 부분의 오류인지 개념의 부재로 특정 제원을 이해못하는 것인지...하여튼 개인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저의 CPU 품질의 문제일수도 있겠죠... RAM도 좀 불량한것 같기도 하고... 쿨럭~

이제 스틱잡은지도 오래되니 무대포 질문은 안하죠. ^^
이해했던 부분에 무엇이 잘못됐는지 오류를 보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오류보고서 ^^;
'투하를 위한 강하고도와 시간이 짧아서 베이스거리의 오차를 보정할 여유가 없습니다. '는 멤버의 말에 의문이 발생되었습니다.

흠.. 고도가 낮아질수록 보정할 여력이 없어진다면 문제가 있는것이 아닐까..?

고/중/저고도의 tracking time이 비슷해야하지 않을까? 다른 제원을 변경해서라도..
그런데 고도가 높아질수록 tracking distance는 늘어날것이고 강하각의 차이가 있다지만 투하속도는 500tas 로 비슷할테니, tracking time은 저고도 일수록 줄어들테고...

혹시 base 거리를 짧게 설정된게 아닐까?
"base distance = bomb range + tracking distance + 선회를 위한 거리"
이니, 여기서 선회를 위한 거리가 줄어든 이유때문이 아닐까. 여기가 보통 오차보정을 할수 있는 곳으로 알고 있는데...

그러나 '선회를 위한 거리' 라는게 오차보정을 위해서 만들어진 거리는 아니고 '선회거리 ~ tracking distance' 에서 오차보정을 위한다고 합니다.
저고도로 갈수록 traking 시간이 줄어든다는 이유가 오차보정의 여력을 줄어든다는 얘긴데..

제원산출 요소중에는 '적 위협에 대한 대처' 라는 항목이 있다.
tracking time은 분명이 여기에 상응하는 요소일텐데... 이게 고도에 따라 달라지면 문제 있는 거 아닐까..
장시간 노출되서 좋을거 없고, 단시간에 의해 목표조준에 어려움이 발생해도 좋을거 없을텐데...

고고도로 갈수록 장시간 노출이 되어도 저고도보다는 덜 위험하다고 하니.. AAA에 대해.

흠..결국 저고도 dive bumb는 보정의 여유가 없다... ?
그런데, 오늘 자료를 또 뒤젂이다가...

[Curvilinear 장주]
Curvilinear 장주는 저고도, 저각도로 사격을 할때 주로 사용한다. 저고도 저각도 사격은 무장운용 형태나 표적지역 기상, 또는 전술적 고려사항 때문에 사용된다.
Short Tracking Solution을 위해 Final에 도달 할때 까지 계속적으로 Heading, 고도, 속도, G를 변화시켜 AAA의 Hit 가능성을 줄여준다.
이는 Roll in 고도로부터 Final의 계획된 Track point 에 Wing level 로  Roll out할때까지의 거의 모든 비행경로를 포함한다.
기본box장주에서 Final로 선회하는 거리의 약 두배 거리에서 Curvilinear접근을 위한 Final로의 선회를 시작한다.
-중략-

AAA hit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짧은 트랙킹 솔로션을 위해..
제원의 구조상 저고도가 트랙킹시간이 줄어든 것인가? 아니면 짧은 트랙킹 제원을 위해서 다른제원의 변형이 와야하는가?

"기본box장주의 Final로 선회하는 거리의 2배 거리에서 선회를 시작한다?" 라는 구절이 제가 궁금해하던 답이 아닐까 생각됐습니다.
여기까지가 궁금증이 흘러온 과정입니다.


■ 질문
box장주는 고/중고도에서만 쓰이고, 저고도 폭격은 기본 box장주가 아니라 Curvilinear 장주로 하는건지요?
아니면 Curvilinear 장주의 목적을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인가요?